Recent Pos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day
Total
250x250
05-07 18:57
관리 메뉴

호빵

Linux | 패키지 관리_2_Local Repository 본문

OS/Linux

Linux | 패키지 관리_2_Local Repository

만두는정말맛있어 2022. 9. 26. 09:03

1. Local Repository

- Repository란 패키지 저장소. 그러므로 리눅스에 yum install [패키지명]을 사용해서 패키지를 설치를 한다면,  이 패키지들은 인터넷상에 있는 repository에서 가져오는 것

 -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환경이라면 yum 명령어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패키지는 설치할 수 없을 것

  => 그런 경우를 위해 내부망에 Local Repository를 설치해서 사용. 인터넷에 repo를 구축하지 않고, 로컬 서버에 repo를 구축함. 이때, 패키지 의존성을 해결해주는 yum을 쓰고 싶다면 createrepo 사용


2. Local Repository 구성

 1) wiki.centos.org 에서 everything Version 다운로드

Everything 버전으로 다운로드

 2) Package 저장용 디렉터리 생성
 # mkdir /cd

 3) everything 버젼 cdrom 삽입 후 Mount
 # mount /dev/sr0 /cd

 # mkdir /repo
 # cp /cd/Packages/* /repo &(백그라운드로 실행)
  ** jobs %1 : 백그라운드 작업 확인

모든 패키지를 /repo에 복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림

# ls -l /repo | wc -l 로 복사된 파일의 개수 확인

 4) createrepo 패키지 설치

# yum install createrepo
설치를 묻는 화면에서 (y/d/N) d를 클릭
다운로드한 파일의 위치는 
# /var/cache/yum/x86_64/7/base/packages/


# cd /var/cache/yum/x86_64/7/base/packages/
# rpm -ivh 패키지 설치


 5) 기존 리포지토리 백업 및 이동
# mkdir /repobackup
# mv /etc/yum.repos.d/* /repobackup


 6) Local Repository 파일 작성
 # vi /etc/yum.repos.d/local.repo
[localrpm]
name=localRepository
baseurl=file:///repo
enabled=1
gpgcheck=0


 7) 리포지토리 생성
 # createrepo /repo


 8) 리포지토리 확인
 # yum repolist


 9) 패키지 설치 테스트
 # yum install -y dhcp

인터넷이 아닌 local Repository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728x90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패키지 관리_4_Binary_Apache 설치 (ShellScript)  (2) 2022.09.26
Linux | 패키지 관리_3_Binary_Apache 설치  (2) 2022.09.26
Linux | 패키지 관리_1_개요  (2) 2022.09.23
Linux | QUOTA  (2) 2022.09.23
Linux | LVM  (1) 202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