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빵
Network | Network란? 본문
Network
- 서로 다른 장치들끼리 연결되어 통신이 되는 상태
1) 연결성
- 케이블
- LAN (Ethernet-CSMA/CD) / WAN(ISDN, Frame-Relay ...) / Internet (BGPv4)
2) 규칙성 - Protocol
3) 통신성
- 통신 3요소 : 송신자, 수신자, 연결선(통신매개체)
1. 구성범위에 따른 네트워크
1. PAN (Personal Area Network) : 가장 소규모의 network, 10M 이내
- Bluetooth
2.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 150M 이내 ex) 가정집, 통상 동일 건물 내
- Ethernet, Wi-Fi 등
- 내부망(이더넷 카드 - UTP케이블)
- 초기 투자 비용이 높지만 유지 보수 용이
- 구성 장비 : Switch(Bridge), HUB 등
- 구성 프로토콜 : Ethernet, Token Ring, FDDI, 무선
3.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50KM 이내, 도시 영역
- 서로 다른 위치의 공공기관 통신, 예전의 WIMAX
4. WAN (Wide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 : 서로 다른 지역 연결
- LAN과 LAN 연결하는 광대역 네트워크
-외부망(여러 WAN 카드 - 여러 성능에 맞는 케이블)
- 초기 투자 비용이 낮지만 유지 보수비가 LAN보다 높음
- 구성 장비 : Router
- 구성 프로토콜 : SLIP, HDLC, PPP, Frame-Relay, X.25, ATM....
(WAN 서비스 : 전용회선, PSTN, ISDN, ATM, Frame-Relay, X.25, MPLS...)
2. 인터넷 (INTERNET)
- 전세계의 수많은 LAN과 WAN들인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
-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통신망의 집합체
- 네트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네트워크간 서로 언어를 맞출 필요가 생김
=>프로토콜(protocol)
1. Protocol: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미리 정해 놓은 언어 또는 약속(통신 규약/ 표준 규격)
=> 즉, 서로 다른 장비가 대화하기 위한 규칙을 정한 프로그램
- 네트워크 상에는 많은 규칙이 존재하는데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는 같은 규칙을 사용해야 함(Network protocol)
ex) TCP / IP : 인터넷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http, https : 웹 브라우저에서 웹을 이용하기위한 프로토콜(웹 서버, 웹페이지 등)
ftp : 파일 전송 하기위한 프로토콜(FTP서버)
2. Port Number(포트번호) : 서비스 요청 및 응답 전송이 되기 위한 길(일련 방 번호)
3. 통신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1. 유니캐스트(Unicast)
- 일 대 일 전달 방식
- 수신 측이 한 곳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
- 즉, 정확한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 가지고 일 대 일로 전달하는 방식
2.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일 대 전체 전달 방식
- 불특정 다수에게 전부 전송하는 경우
- 동일 Network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게 보내는 통신(Broadcast Domain안의 모든 장비들에게 전송)
3. 멀티캐스트(Multicast)
- 일 대 그룹 전달 방식
- 정해진 특정 그룹으로 전송하는 경우
- 특정 다수에게 전송하는 방식
4. 네트워킹 방식
1. 이더넷(Ethernet)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네트워킹 방식
-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프로토콜 사용
Carrier Sense : ethernet 환경에서 통신을 원하는 PC가 network 상에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
Multiple Access : network 상에서 두 개 이상의 PC나 서버가 동시에 data를 보내는 경우
Collision Detection : 두 개의 장비들이 동시에 data를 보낼 때의 충돌 탐지
=> 해당 포트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감지되어 통신 중이라고 판단하면 데이터 전송 하지 않음
=> 최대 15회까지 재전송 시도 후 실패 시 Frame 전송 포기
2. 토큰링(TokenRing)
- 옆으로 전달하는 방식
- 한 네트워크 상에서 오직 token을 가진 한 PC만이 data 송신 가능
- data 송신 완료 시 옆 PC에 token 전달
3. FDDI
4. ATM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Routing Protocol_RIP (4) | 2022.11.10 |
---|---|
Network | Routing & Routing Protocol (3) | 2022.11.10 |
Network | IP Address & Subnet_class, CIDR, subnetting (3) | 2022.11.09 |
Network | Networking Fundamentals & Devices (3) | 2022.11.09 |
Network | TCP / IP model (1) | 2022.11.08 |